학회소식         공지사항

<자연 회귀의 사회학> 김무경 지음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873





'일상', '부족주의', '노마디즘'의 이해!!



프랑스의 사회학자 미셸 마페졸리의 저작 전반에는 '자연 회귀'라는 문제 틀이 깔려 있다. 여기서
'자연'은 통상적 의미에서의 자연을 의미하며, 그간 '문화'에 의해 배쳑당했던 부분을 뜻한다. 또
'자연'은 인간 속의 자연 혹은 '본성'을 뜻한다. 이는 인간의 합리적 '이성'이 인식 대상으로 하지
않던 감성이나 열정, '동물적인 부분'이나 상상력을 뜻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 마페졸리는 모던 시대에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거나 배제되었던 가치나 생활양식들, 즉 '자연'이라는 공통어로 묶어서 특징지을 수
있는 가치나 생활양식들이 포스트-모던 시대에 회귀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베버가 말한 '탈 주술화된
사회'를 지나 탄생한 '재 주술화된 사회', 그것이 마페졸리의 포스트-모던 시대 분석이며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 논제다.





목차

저자의 말



서론 - 인간이라는 자연



1부 권력 대 역능

1장 사회동학: '권력'과 '역능' 그리고 폭력

2장 일상



2부 문화의 자연화, 자연의 문화화

3장 부족의 시대

4장 미학의 윤리

5장 노마디즘

6장 비극



결론 - 헤르메스의 정신을 향한 여정



참고문헌











저자소개

김무경
 첨부파일
자연회귀의사회학.jpg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