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매개화 현상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정보문화 및 대중문화 비평의 글을 담고 있다. 현대 문화는 기술적 매개화와 재매개화의 양식을 통해 문화의 수용과 소비의 형태가 달라지고 있음에 착안하고, 이러한 기술적 양식이 인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의미 해석과정에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지 논의하고 있다. 미디어 기술과 문화의 결합과 확산이라는 현상 속에서 더욱 요구되는 것은 사회적 상상임을 강조하고 있다. 2004년도 대한민국 학술원 기초학문 분야 우수학술 도서에 선정(2003, 한울아카데미, 16,000원)
목차
제1부 이론과 성찰
제1장 사회적 상상과 상징의 사회학
제2장 담론이론과 담론분석: 사회적 상상과 정치적 담론
제3장 담론, 권력 그리고 의사소통: 부르디외, 푸코, 하버마스에 대하여
제4장 매체의 신화, 문화의 야만
제2부 입장과 시선
제1장 문화연구, 사회학의 불온한 초상
제2장 정보사회의 문화론적 독해
제3장 미디어와 정치, 공모의 사회학
제4장 대중매체와 일상공간의 재인식
제5장 매체와 기호, 문화의 접점